몬트레이에서만. 스무스한 경험
애플 에어플레이(AirPlay)는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 등 애플 기기의 화면 내지 음악, 영상을 초대형 TV에서 재생시키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다. 아이폰에서 유튜브 영상을 공유하면 곧바로 TV에서 재생되기 시작한다. 에어플레이 기능은 크게 화면 미러링과 동영상 및 음악 재생이다.
우선 동일한 와이파이에 연결된 아이폰, 아이패드, 맥 등의 애플 기기 화면 미러링이다. 너무 간단하다. 일례로 아이폰 화면 상단 내지 아래를 슬쩍해 나타나는 제어센터에서 ‘화면 미러링’을 선택하면 아이폰 화면이 TV에 그대로 표시된다.
유튜브, 넷플릭스 같은 동영상 재생 앱의 경우 모퉁이의 TV 아이콘을 누르면 동일한 기능을 한다. 마찬가지로 음악 재생도 가능하다. 아이폰에 표시되는 ‘에어플레이’ 아이콘을 탭 하고 재생하려는 장치를 목록에서 선택하면 된다. 내장 스피커나 이어폰으로 들리던 소리가 TV 스피커를 통해 흐른다.
음질 면에서도 장점이 있다. 블루투스는 ‘SBC(Sub-Band Coding)’라는 손실 압축 방식을 이용해 무선으로 소리를 전송한다. APT-X, APT-X HD 또는 AAC 같은 고음질 규격도 지원하는데 보내는 쪽과 받는 쪽 모두 해당돼야 하므로 기본적으로 음질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에어플레이는 애플이 만든 ‘Apple Lossless’라는 무손실 압축 코덱을 쓴다. 애플뮤직 무손실 음원을 무선으로 감상한다면 에어플레이만 한 게 없다.
맥 OS 몬터레이(Monterey) '맥으로 에어플레이'
애플은 새 맥OS ‘몬터레이’에서 에어플레이 기기 목록에 맥을 포함한다. 맥북, 아이맥 등 맥과 연결된 디스플레이가 TV 역할을 한다는 의미다. ‘맥으로 에어플레이’를 지원하는 맥의 디스플레이는 애플 워치 피트니스 기능인 ‘피트니스+(플러스)’를 띄울 수 있고 가까운 주변 맥 화면의 미러링 내지 확장 표시용으로 잠시 내어줄 수도 있다. 아이폰과 아이패드에 저장된 콘텐츠를 에어플레이를 통해 맥으로 보낼 수 있으며 넷플릭스 같은 앱도 된다. 맥으로 에어플레이는 무선 또는 USB 케이블 연결로 작동된다. 유선 연결은 지연 시간을 줄이는데 유용하다.
‘맥으로 에어플레이’ 지원 맥은 2018년 맥북프로 또는 이후 2018년 맥북에어 또는 이후 2019년 아이맥 또는 이후 아이맥 프로 2020년 맥미니 또는 이후 2019년 맥프로 또는 이후 모델이다.
2020 맥미니를 제외하면 공통적인 특징은 T2 칩의 탑재다. 아이맥 프로 기준 T2는 풀HD 페이스타임 카메라, 4개의 마이크와 우퍼+트위터 조합의 스피커, SSD 등을 제어한다. CPU가 하던 미미한 작업을 대신해서 CPU 본래의 대용량 작업 처리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 USB 메모리 같은 타인의 무단 로그인을 방지하는 ‘보안 시동’과 ‘외부 시동’ 등 안전한 부팅에도 힘을 보탠다. 맥으로 에어플레이가 작동될 때 화면 가로채기 같은 외부 해킹을 막는데 T2는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M1 칩은 T2 기능을 흡수했다.
맥 OS 몬터레이가 설치되는 맥은 좀 더 오래된 모델을 포함한다. 2015년 아이맥 또는 이후 2013년 맥 프로 또는 이후 아이맥 프로 2014년 맥미니 또는 이후 2015년 맥북에어 또는 이후 2015년 맥북 또는 이후 2015년 맥북프로 또는 이후 모델에서 설치된다.
함께 읽어보면 좋을 글
'about app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 새로나올 아이패드를 예측해보았다 (feat. 아이패드OS 15) (0) | 2021.06.29 |
---|---|
아이폰에서 제공되는 신기능 ' 집중모드' (0) | 2021.06.25 |
iOS 15 기능 중 XS,XR 이상에서만 실행되는 기능들을 알아보자 (0) | 2021.06.18 |
맥북에 대한 이러쿵 저러쿵, 총정리 해봤습니다 (0) | 2021.06.16 |
올 하반기 맥북프로는 M1X를 탑재하고 나온다 (0) | 2021.06.16 |